전체 글
-
0003 가(駕)의 이체자하루이체자 2023. 1. 20. 11:53
# 駕의 이체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번째는 자형이 상하 구조에서 좌우 구조로 바뀌는 경우이고, 두번째는 馬의 아랫부분의 灬가 一로 𫠉 또는 八을 뒤집은 형태의 丷로 바뀌는 경우이다. 0003는 이 중 첫번째 사례이다. 1. 이체 자형 - 폰트가 있는 駕의 이체자 2. 변화 유형 - 駕의 이체자는 상하 구조에서 좌우 구조로 바뀐 경우이다. 그러나 馬+加의 형태로 바뀐 형태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다만 좌우 구조인 馬+加의 형태에서 加가 상하구조로 바뀐 자형만 나타난다. 또한 중국의 偏類碑別字에는 加가 叻로 바뀐 형태이 *叻/馬도 나타난다. - 이 유형은 加(더할/감), 駕(멍에/가) 등에서 나타난다. - 이 유형은 조선전기 문집에서 확인된다. 3. 참고사항 - 駕의 변화 중 가장 많..
-
0002 가(可)(歌)의 이체자하루이체자 2022. 12. 24. 19:57
# 가(可)의 이체자는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는 可가 단독으로 사용될 때 나타나는 변화, 두번째는 哥가 포함된 형태에서 나타나는 변화이다. 첫번째 유형은 아래의 유형으로 나타난다. 1) 口가 丁의 가운데로 이동한 형태, 2) 口가 二의 형태로 생략된 형태, 3) 口가 厶의 형태로 생략된 경우이다. 두번째 유형은 아래의 유형으로 나타난다. 1) 歌의 可가 句의 형태로 변화한 유형, 2) 첫번째의 2)와 동일한 유형, 3) 可가 爪(𤔄)의 형태로 변화한 유형, 4)는可의 口가 人으로 생략된 유형이다. 1. 이체 자형 - 폰트가 있는 歌의 이체자 # 전거자료1 2. 변화 유형 - 이 유형은 주로 可(옳을/가), 哥(언니/가), 歌(노래/가) , 何(어찌/하), 荷(연꽃/하) 등과 같이 可이 포함..
-
-
-
-
0001 가(假)(叚)의 이체자하루이체자 2022. 12. 23. 16:13
0001 假의 이체자 # 가(假)의 이체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叚 앞쪽의 변화이고, 둘째는 叚 뒷쪽의 변화이다. 앞쪽의 크게 변화는 복잡하지 않고 巳와 己 또는 이(㠯)와 비슷한 형태의 변화가 일어난다. 반면 뒷쪽의 변화는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1) '殳'의 형태로 바뀐 경우이고, 2) '𪠲'의 형태로 바뀐 경우이고, 3) 'マ/乂'의 형태로 바뀐 경우이고, 4) 攵의 형태로 바뀐 경우 이다. 1. 이체 자형 - 폰트가 있는 叚의 이체자 - 이 유형은 필기습관에 의해 편리한 형태로 변화한 것이다. # 전거자료1 위의 표에 있는 '전거'에 대한 설명은 0000에 자세하게 다루었기 때문에, 개별 이체자를 설명할 때는 언급하지 않았다. ex) [B068;302a;7(丙)]..
-
-
D. 이체자(異體字)란 무엇인가?한국이체자 2022. 11. 16. 11:04
D. 이체자(異體字)란 무엇인가? 이체자라는 용어는 역사적으로 或體, 重文, 別字, 別體, 別體字, 異文, 字體之異, 訛體, 訛字, 謬體, 繆體, 俗字, 俗體, 半字, 土字, 近鄙字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주지하는 바, 모든 글자의 자형은 의미에 따라 달라지고 그에 합당한 음의 요소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 한자를 사용함에 따라 同形字나 이체자 현상 등이 발생하게 된다. 다양하게 파생된 이체자에 대한 정의와 구분은 아직까지 학자들마다 견해가 같지 않다. 이체자 연구에 가장 적극적인 중국의 학자들조차도 각기 다른 견해를 내세우고 있는 형편이다. 대표적인 견해를 보면 다음과 같다. ○ 蒋善国(1987) : 형태가 다양한 글자를 보편적으로 이체자라고 한다. 이체자는 廣義의 입장에서 보면 ..
-
C. 이체자(異體字) 연구 대상한국이체자 2022. 11. 14. 10:54
C. 이체자 연구 대상 본고에서는 韓國文集叢刊 소재 문집의 필사본, 목판본, 활자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필사된 원고를 목판이나 활자로 정형화시키는 과정에 당대의 이체자형을 반영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활자의 발명 이후 소수의 문헌이 활자로 간행되기는 하였으나, 조선후기까지도 대부분 목판과 필사의 형태로 존재한 경우가 많았다. 이 과정에서 우리만의 독특한 이체자가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文集은 고려중기에 목판으로 간행되기 시작하여 조선중기 이후로 더욱 확산되는데, 특히 조선시대에 생산된 典籍의 약 40%에 달할 만큼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문집은 전통 기록 문화에서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몇 종의 문집을 제외하고는 문집의 자체는 해서체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조선말기..
-
B. 이체자(異體字) 연구에 대한 문제 제기한국이체자 2022. 11. 12. 10:46
B. 이체자 연구에 대한 문제 제기 주지하는 바, 한자 자형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전체의 공통의 연구 과제이다. 중국ㆍ대만ㆍ일본의 경우 한자의 이체자형에 대한 연구는 金石文을 비롯하여 불경 및 일반 서적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중국ㆍ대만ㆍ일본의 연구자들은 그간 많은 전문 연구서적과 사전 등을 출간하는 등 자국의 이체자 연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반면 우리의 경우 이러한 연구 상황과는 사뭇 다르다. 이체자 연구 자체가 그동안 큰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단순히 한문 독해를 위해 자형에 대한 단편적 검토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자형이 변화하여 이체자로 생성되어 가는 규칙과 이체자를 분류하는 방식을 고려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았다. 대체로 이체자를 정형화된 한자의 다른 ..
-
A. 이체자(異體字) 연구 배경한국이체자 2022. 11. 10. 09:41
A. 이체자 연구 배경 한반도는 3~4세기 무렵에 이미 중국으로부터 통일된 漢字의 자형을 받아들여 사용하였다. 이후로도 다양한 형태의 자형이 한반도의 고대 국가로 유입되는 현상은 지속되었다. 또한 중국은 역사적 전개에 따라 異體字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였고, 우리 역시 중국 서적들을 유입하면서 그때그때 다양한 이체자를 사용한 바 있다. 이는 중국이 계속해서 이체자를 생성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우리는 이체자를 생성하기보다 중국의 이체자를 수용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자의 사용이 정착되고 보편화되면서 한반도의 지식인들은 독특한 이체자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를 감안하면 이체자의 사용은 한반도뿐 아니라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공통으로 일어난 현상으로도 볼 수 있다. 다만 이체자를 사용한..
-
0000 하루 이체자의 전거에 대한 설명하루이체자 2022. 11. 7. 09:45
# 아래 첨부된 전거자료에서 '전거'에 대한 설명 ex) [B068;302a;7(丙)] A: 韓國文集叢刊 本輯 B: 韓國文集叢刊 續輯 (1) 책의 집수: ex) '68'은 68집 (2) 책의 면수: ex) '302'는 302면 (3) 페이지에 대한 설명 a: 윗쪽 목판 오른쪽 b: 윗쪽 목판 왼쪽 c: 아래 목판 오른쪽 d: 아래 목판 왼쪽 (4) 줄수 표시 ex) '7' 오른쪽에서부터 일곱번째 줄. (5) 시기에 대한 설명 甲: 17C 乙: 18C 丙: 19C 丁: 20C # [B068;302a;7(丙)] 에 대한 설명: 韓國文集叢刊 續輯, 68輯, 302면, 윗판 오른쪽, 6행. 간행시기 19C. # 전거자료
-
0589 촉(蜀)의 이체자1하루이체자 2022. 11. 6. 11:38
# 蜀의 이체자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번째는 蜀*(𦉶:罒/勹)의 아랫부분에 있는 虫이 匕의 형태로 바뀌는 경우이고, 두번째는 蜀 자체가 市의 형태로 바뀌는 경우이고, 세번째는 罒의 위에 획이 추가되어 血과 비슷한 형태로 바꾸는 경우이다. 0002는 이 중 첫번째 사례이다. 1. 이체 자형 - 폰트가 있는 蜀의 이체자 - 이 유형은 蜀의 변화 중 하나로 초서의 형태가 해서로 변화한 것이다. ex) 蜀의 변화를 유추할 수 있는 초서 자형은 다음과 같다. # 전거자료1 위의 표에 있는 '전거'에 대한 설명은 0000에 자세하게 다루었기 때문에, 개별 이체자를 설명할 때는 언급하지 않았다. ex) [B068;302a;7(丙)] 에 대한 설명: 韓國文集叢刊 續輯, 68輯, 302면, 윗판 ..